기름·소금·식초..중국 희귀 성씨 눈길

2007. 2. 7. 16: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는 성씨가 4천1백여개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중국의 역대 성씨는 무려 2만4천개였으나 이 가운데 2만개의 성씨는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학원 유전발육연구소는 사상 처음으로 3억명에 가까운 중국인을 조사해 최근 <중국성씨통계>를 완성했다. 조사 결과 가장 많은 성씨는 리(李) 왕(王) 장(張)씨로 이들 성을 가진 사람이 전체인구의 21.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류(劉) 진(陳) 양(楊) 조(趙) 황(黃) 주(周) 우(吳)씨가 나란히 10대 성씨에 포함됐다.

인구가 많은만큼 희귀한 성씨도 많다. 이 연구소 성씨연구센터의 위안이다(袁義達) 주임은 "현재 중국에서 상용글자로 사용되는 3-4천 자 대부분이 성씨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중국국가지리라는 잡지사에서 중국의 희귀한 성씨를 조사한 결과 기름 유(油)씨 성은 장쑤성에 7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금 염(鹽)씨 성을 쓰는 사람은 13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간장 등의 장을 말할 때 쓰는 장(醬)씨도 14명이 있는데 공교롭게도 14명 가운데 장두부(醬豆腐)라는 동명이인까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식초를 뜻하는 초(醋, 중국 발음 추)씨도 있었고 미(米)씨와 차(茶)씨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샨시(陝西)성의 한 농촌마을에는 제오(第五, 중국발음 디우)라는 성씨의 집성촌이 있는데 과거에는 第一씨부터 第八씨까지 존재했었다고 한다.

성씨가 잘못 알려진 경우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신분증에 "억(億, 중국발은음 이)"씨로 표기된 사람을 찾아낸 결과 원래 그들의 성은 억이 아니라 '니'(사람 人변에 兒)인데 이 지방의 사투리로 두 글자의 발음이 똑같기 때문에 신분증에 잘못 기록된 것이 그대로 내려오고 있다는 것이다.

성씨가 사라진 것은 대부분 이민족이 한족에 동화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예를 들어 남북조 시대에 중국대륙으로 흡수된 선비족은 대부분 한족의 성씨로 바꾸면서 선비족의 성씨가 사라지게 됐고 원대의 몽골족과 청대의 만주족 역시 한족에 동화되면서 일부는 자신들의 성을 유지했지만 대부분이 한족의 성으로 고쳐 수많은 성씨가 사라졌다.

또 절대다수의 중국인이 아버지의 성을 물려받지만 일부 소수민족은 어머니의 성을 물려받기도 하며 또 부모가 상의해서 누구 성을 자녀에게 물려줄 것인지를 결정하는 경우도 있다.

새로운 성씨도 나타나고 있다. 새로운 성씨는 부모의 성이나 이름을 조합해 하나의 성을 만드는 경우와 부모가 아예 자녀에게 새로운 성을 물려주는 두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중국은 인구 13억에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만큼 성씨와 관련된 사연도 각양각색이다.

베이징=CBS 김주명 특파원 jmkim@cbs.co.kr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