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 속 한자이야기] (112)起承轉結(기승전결)

2006. 3. 18. 08: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儒林 (544)에는 '起承轉結'(일어날 기/이을 승/구를 전/맺을 결)이 나온다.漢詩(한시)의 형식 가운데 絶句(절구)를 구성하는 방법이다.起句(기구)에서는 詩想(시상)을 일으키고,承句(승구)에서 그것을 이어받아 발전시키며,轉句(전구)에서는 장면과 사상을 새롭게 轉換(전환)시키고,結句(결구)는 전체를 묶어서 餘韻(여운)과 餘情(여정)이 깃들도록 끝맺는다.

'起'자는 '走'(주)와 '巳'(사)를 결합하여 '일어나 달림'의 뜻을 나타냈다.用例(용례)로 '起伏(기복:세력이나 기세 따위가 성하였다 쇠하였다 함. 지세의 높낮이가 심함),起死回生(기사회생:거의 죽을 뻔하다가 도로 살아남)' 등을 들 수 있다.

'承'은 '앉아 있는 사람'과 '두 손'의 상형을 합한 글자이니 본뜻은 '받들다.'이다.'이어받다.''도움''차례'의 뜻으로도 쓰인다.用例에는 '承繼(승계:권리나 의무를 이어받는 일),承認(승인:일정한 사실을 인정함)' 등이 있다.

'轉'자의 原形(원형)은 '專'(오로지 전)이었다고 한다.專은 '실패를 손에 잡고 있는 모양'인데, 실을 감을 때 정신을 집중하지 않으면 실이 고르게 감기지 않는다는 데에서 '오로지 하다.'라는 뜻이 派生(파생)했다.'轉機(전기:전환점의 기회나 시기),轉學(전학:다니던 학교에서 다른 학교로 학적을 옮겨 배움)'등에 쓰인다.

'結'자는 意符(의부)인 ' '(실사)와 音符인 '吉'(길할 길)을 합쳐 '맺다.'라는 뜻을 나타냈다.用例에는 '結論(결론:말이나 글의 끝을 맺는 부분. 최종적으로 판단을 내림),結審(결심:소송에서 변론을 끝내는 일),締結(체결:얽어서 맺음. 계약이나 조약 따위를 공식적으로 맺음)' 등이 있다.

漢詩는 형식상의 차이를 기준으로 크게 古體詩(고체시)와 近體詩(근체시)로 나눌 수 있다.近體詩는 押韻(압운),平仄(평측),對偶(대우) 등의 엄격한 규칙이 적용된다.

반면 古體詩는 平仄이나 字數에 制限(제한)이 없어 비교적 형식이 자유로워 四言(사언) 五言(오언) 七言(칠언) 雜言(잡언) 등이 있다.

近體詩는 다시 絶句(절구),律詩(율시),排律(배율)로 나눈다.絶句(절구)는 起承轉結의 4句로,律詩는 4聯(연:漢詩에서 짝을 이루는 두 句를 하나로 묶어 이르는 말)으로 이루어진다.排律(배율)은 律詩보다 하나 이상의 聯이 추가된 형식이므로 絶句와 律詩보다는 자유롭다 하겠다.

漢字(한자)는 初聲을 字母(자모)라 하고 中·終聲을 합해서 韻母(운모)라 한다. 이 운모를 같은 계통의 글자로 맞추는 것을 押韻이라 하고, 한 수의 詩 안에서 압운된 글자를 韻字(운자)라 한다.平仄法(평측법)이란 平聲(평성)과 仄聲(측성)을 규칙적으로 배열하는 作詩法이다.漢字는 四聲(사성)이라고 일컬어지는 聲調(성조)를 가지고 있다.

포은(圃隱) 鄭夢周(정몽주)의 春興(춘흥)을 통해 絶句의 妙味(묘미)를 느껴보자."방울도 지지 않을 만큼 가느다란 봄비(春雨細不滴:춘우세부적)/ 깊은 밤 어렴풋이 빗소리 들리네(夜中微有聲:야중미유성)/눈 녹아 남쪽 개울물 불어나니(雪盡南溪漲:설진남계창)/새싹은 얼마나 돋았을까(多少草芽生:다소초아생)"

김석제 경기도군포의왕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