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수염하늘소 - 재선충 소나무 죽이는 '2인조'

2004. 11. 30. 12:2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소나무는 중생대 백악기(1억 4300만년〜6500만년전)쯤 한반도에 출현한 이래 (나무 가운데) 가장 성공적으로 환경에 적응한 종”(산림과학원 신준환 산림환경부장)이라고 한다. 이런 연유로 지금까지 십장생(十長生)의 반열에 이름을 올려놓고 있다.

●1㎜ 재선충 1주일만에 20만마리로유구한 역사를 지닌 소나무와 ‘종(種)의 전쟁’을 치르고 있는 상대는 솔수염하늘소(매개곤충)와 재선충(병원균)이다. 이들 2인조는 완벽하게 짜여진 절차에 따라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절묘한 진화과정을 거친다. 소나무는 이 과정에서 이들의 제물(祭物)로 바쳐진다.

재선충은 기껏 1㎜ 정도지만, 한쌍이 1주일여 만에 20만마리로 왕성하게, 급속히 번식하는 특별한 능력을 지녔다. 솔수염하늘소에 의해 건강한 소나무로 침투한 후, 수백만마리로 불어나 소나무의 수분이동 통로를 막아 고사시킨다. 소나무가 썩게 되면 솔수염하늘소는 이 곳을 산란장소로 활용한다. 건강한 나무에서는 부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 솔수염하늘소는 종의 연명을 재선충에 의존하는 것이다. 산란한 알이 애벌레를 거쳐 우화(羽化・날개가 달려 성충이 되는 것)하기 직전, 둘은 다시 결합한다. 나무 속에 퍼져 있던 재선충은 본능적으로 솔수염하늘소의 숨구멍을 찾아 그 속으로 스물스물 기어 들어간다. 솔수염하늘소는 아무런 거리낌없이 재선충의 행동을 기꺼이 수용한다. 이렇게 결합한 둘은 새로운 먹이를 찾아 다른 건강한 소나무로 날아가게 되는 것이다.

●참나무시들음병도 매개충-병원균 진화과정 아직 진화 메커니즘이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참나무시들음병도 이와 유사하다. 매개충인 광능긴나무좀(암컷)은 등에 달린 균주머니에 병원균을 넣어 실어 나른다. 참나무에 들러 붙어 작은 구멍을 낸 뒤 나무 속에 병원균을 집어 넣으면 균은 나무 속을 갉아 먹으며 독립적으로 살아 간다.

이 때 긴나무좀의 애벌레는 주변에 흩어져 있는 병원균을 먹고 자란다. 즉 성충이 되기 위해 병원균을 필수 먹이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긴좀나무의 균낭에 병원균이 다시 채워지는 것은 물론이다. 산림과학원 이승규 박사는 “소나무재선충병과 참나무시들음병의 매개충-병원균의 진화과정은 보기 드문 고등수법”이라며 “(나무피해를 생각하지 않고)이것만 놓고 보면 신비로울 정도”라고 말했다.

박은호기자 unopark@seoul.co.kr[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