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파트 사경] 입원한 파리 軍병원 주변

2004. 11. 6. 12:2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파리 함혜리특파원|4일 밤 파리 남서부 클라마르에 있는 페르시 군병원 앞. 이스라엘 언론이 성급하게 아라파트가 사망했다고 보도한 뒤 군병원 관계자가 사망을 부인하는 등 혼선이 빚어진 이후여서인지 더욱 숫자가 불어난 각국 보도진들로 조용해야 할 군 병원 앞은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이날 밤 더 이상의 공식성명이나 발표는 없을 것이라는 병원 관계자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위성안테나 등 송신장비를 장착한 중계차량들은 자리를 지킨 채 빽빽이 들어차 있고 대낮처럼 환하게 불을 밝힌 조명등의 불빛도 수그러질줄 몰랐다.

프랑스 경찰 소속 진압특수기동대원들이 삼엄한 경비를 펼치는 가운데 수십명의 프랑스 거주 팔레스타인인들이 병원 앞에 팔레스타인 국기와 아라파트의 사진을 들고 나와 서 있었다.

추운 날씨에도 불구, 밤이 깊어가면서 하나둘씩 늘어가는 팔레스타인인들은 의식불명 상태에 빠진 그들의 지도자가 회복되기를 기원하고 있었다.

팔레스타인인들 외에도 모로코인, 튀니지인 등 이슬람권 국가 사람들도 자리를 함께 해 아랍국가의 결속력을 보여주었다.

팔레스타인에서 7년 전 프랑스로 유학왔다가 사업을 한다는 무하마드씨는 “아라파트는 우리 민족의 상징이며 희망이다. 그는 반드시 회복돼 우리 민족의 해방과 자유를 위해 싸울 것이다.”고 힘주어 말했다.

프랑스 내 팔레스타인인 협회들의 연대책임자인 사프와트 이브라임 박사는 건강이 급격히 악화된 아라파트 수반이 프랑스의 페르시 군병원으로 옮겨진 지난달 29일부터 이곳에 나와 그의 ‘의무’를 다하고 있다고 했다. 이브라임 박사는 “그가 내일 이 세상을 떠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가 죽었다고 해서 자유를 향한 우리의 투쟁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며 “팔레스타인인들은 아라파트를 이을 또 다른 리더를 찾을 것이며 우리의 투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군병원의 높은 담에 걸려 있는 커다란 팔레스타인 국기 아래에서 한 여인이 ‘아라파트는 팔레스타인의 상징’이라는 글이 쓰인 아라파트의 초상화 앞에 간절한 기원을 담으며 촛불을 밝혔다. 그녀 옆에서 촛불을 함께 밝히고 있던 여섯살 난 사브리나에게 아라파트 수반의 사진을 가리키며 누구인줄 아느냐고 묻자 “아라파트”라는 대답이 앙증맞은 입에서 금방 튀어나온다. 하지만 오늘밤 여기에 왜 나왔는지 아느냐는 질문에 사브리나는 두 눈만 반짝인 채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수줍어하는 사브리나의 천진한 눈매를 보니 모르는 게 분명했다.

사브리나가 아라파트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아라파트는 팔레스타인인들의 가슴 속에 영원히 살아 있는 존재로 남을 것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이브라임 박사가 했던 말이 다시 귓가에 들리는 듯했다.

“팔레스타인인이라고 아라파트를 미워하지 말란 법은 없다. 그를 싫어할 수도 있고, 사랑할 수도 있다. 하지만 팔레스타인 민족은 영원히 그를 잊지 못할 것이다.”lotus@seoul.co.kr[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