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麗水).麗川지방 약국의보 유명무실

1990. 9. 26. 11: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수(麗水) = 연합(聯合)) 전남(全南) 여수(麗水).麗川지방에서는 약국의료보험제도가 실시된지 1년이 다 되도록 정착되지 못해 개선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같이 약국의료보험이 흐지부지해 지고 있는것은 보험부담률이 본인 60%, 의료보험 40%의 요율과 조제약에 제한이 많아 대부분의 환자들이 약국의료보험을 기피하고 있기때문이다.

더구나 처방전도 한정된 약품 4가지 이상을 넣지 못하도록 규정해 약을 먹어도 별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고 약국에서도 의료보험으로 하루분의 조제약을 판매할 경우 기본약품의 단가에다 조제료 3백원, 관리비 3백원, 기술비 1백40원등을 합쳐도 모두 1천7백원에서 2천원정도 밖에 안돼 약제비청구를 기피하고 있다는것.

또 약국에서 의료보험을 청구하려면 대한약사회에서 만든 약제비 명세서에 조제투약내역을 기재해야 하고 매월 1회씩 약제비 청구서를 의료보험연합에 청구해야 하는등 번거로움이 많아 아예 약값 2 - 3백원을 덜받고도 약제비 청구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朴모씨(41.여수(麗水)시 광무(光武)동)는 "감기약 한번 사려고 보험카드를 챙겨 약국에가 상기다리느니 차라리 보험혜택없이 약을 구입하는 것이 훨씬 편하다"면서 "약국의료보험수가등을 재조정해야 이용자가 크게 늘어날 것같다"고 말했다.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